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 : 우리가 살아온 세계와 우리 자신을 바라봤던 관점에 대한 근본적이고 극적인 변화 (transformataion) Mezirow의 전환학습 이론 Mezirow는 장기간 중단 후 고등교육이나 직장으로 돌아가는 미국 여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전환학습을 제시하였다(1978). Mezirow는 학습을 미래의 행동을 이끌어 내기 위하여 기존의 해석을 사용함으로써 우리가 경험한 것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했다. 의미구조(meaning structures)는 준거 틀(frame of reference), 사고 방식(habits of mind), 관점(points of view)로 이루어져 있다. 1) Frame of references(준..

자기주도학습(SDL; Self-Directed Learning) Tough(1967, 1971)과 Houl(1961,1988)에 의해 제시된 성인학습 개념 많은 자기주도학습은 제도적인 형식학습 밖에서 발생하며 그렇기 때문에 일상생활 속에 내재되어 잘 눈에 띄지 않는다.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내 주변에서 학습이 발생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내 가족, 이웃, 동료 그리고 지인들로부터 학습이 시작되고 완성될 수 있다 (Tough, 1971) Knowles(1970,1980)은 성인학습의 가장 특징적인 가정 중의 하나가 학습자는 성숙할수록 자기주도적이라는 것이다. Knowles의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생각은 나중에 안드라고지(Andragogy)의 개념이 되었다. 자기주도학습의 초기 연구들은 성인은 스스로 학습할 ..

발달(Development)란 개인과 환경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시간에 따른 행동의 체계적인 변화로 정의할 수 있다. 성인발달(Adult development)와 관련하여 다양한 관점이 있는데 크게 4개의 큰 틀에서 볼수 있다. 생물학적 관점 : 삶의 과정 동안 신체적 변화를 설명하는 관점 심리학적 관점 : 신념, 도덕성, 정체성, 지능적 발달을 설명하는 관점 사회문화적 관점 : 문화적, 역사적, 대인관계의 영향을 설명하는 관점 통합적 관점 : 다양한 관점들을 통합하여 발달을 설명하는 관점 1. 생물학적 관점에서의 발달 (Biological development) 우리의 신체는 성숙의 단계를 지나 노화를 겪게 되며 이에 따른 신체적 변화가 있다. 특히 시각, 청각이 점차 퇴화하여 학습 과정..

성인학습자의 성인 교육 참여에 대해 설명하는 흥미로운 이론이 있다. 바로 맥클러스키의 마진이론(The theory of margin, 1963)이다. 맥클러스키(McClusky)는 1963년 발표한 마진 이론에서 성인기는 한 사람이 지속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와 가용한 에너지 간의 균형을 추구하는 성장, 변화, 통합의 시기라고 설명하고 있다. 맥클러스키는 성인은 급변하는 사회에서 생존하고 발전하게 위하여 지속해서 학습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러한 학습의 필요성이 성인이 속한 삶 속의 단계와 만나게 되고, 그 삶의 단계에서 학습의 가능성과 학습의 장애물이 대립하게 된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맥클러스키는 학습에 필요한 에너지와 가용한 에너지간의 균형을 "에너지를 소진시키는 "삶..

1968년, Malcom Knowles는 성인기 이전의 학교교육과는 구별되는 "안드라고지(Andragogy)"라는 성인학습의 새로운 이론을 제시했다. 사실 안드라고지라는 용어를 처음 쓴 사람은 Knowles가 아니지만 안드라고지(Andragogy)는 북미에서 성인학습자와 그의 삶의 상황에 초점을 맞춘 첫번째 모델로서 소개되었다. Knowles가 제시한 안드라고지의 6가지 가정 (Six assumptions) 1. 사람은 성숙해감에 따라 의존적인 성향의 자의식에서 자기 주도적인 개인으로 변화한다. - 자기 주도적, 자율적, 학습에 스스로 책임을 지는 특성 - 실제 적용 사례 : 성인 친화적인 학습 분위기, 계획과 자기 진단과 자기 평가 경험을 제공하는 것 2. 성인은 점차 상당한 경험을 축척해나가며 이것은..

학습은 어디서 발생하느냐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학습'하면 흔히 학교에서 책상에 앉아 선생님에게 수업을 받는 모습을 상상하겠지만 학습은 생각보다 우리의 일상생활 깊숙이 스며들어 있다. 방금 떠올렸던 학교에서 배우는 과정은 '형식 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학교와 같이 제도적인 교육기관이 아닌 곳에서 학습은 어떻게 가능할까? 1. 형식학습, 형식교육 (Formal Learning / Formal Education) 형식교육은 제도화되어 있으며 커리큘럼이 있고 점수나 학점, 학위, 자격증과 같이 공식적으로 인증을 받는다. 예를 들어 초, 중, 고등학교 교육, 대학교, 대학원, 방송통신대학을 들 수 있다. 형식교육은 의도적이며 구조화되어있다. 2. 비형식교육 / 비형식 학습 (No..

'평생교육', '평생학습' 이라는 문구는 살아가면서 한번쯤은 스쳐지나가면서라도 들어봤을 것이다. 교육은 교육인데,,, 그 앞에 '평생'이 붙는다면? 직관적으로 생각했을 때 '평생동안 받는 교육, 평생에 걸친 교육'이라고 느낄 것이다. 예를 들어 한글학교에 다니며 70이 넘은 나이에 한글을 배워 시를 쓰게 된 할머니는 대표적인 평생교육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과연, 이 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 혹은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은 어떻게 출발하게 되었을까? 그리고 왜 전세계적으로 '평생'교육을 강조하고 있을까? 1.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 과 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의 정의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 : 전생애(Lif..
- Total
- Today
- Yesterday
- 카이
- 레빈슨(levinson) 모델
- 만화 불의 검
- 뮤지컬 팬텀(phantom)
- 국립정동극장
- 뮤지컬 시카고(chicago)
- 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
- Mezirow
- 전환학습
- Spear 모델
- 대성 디큐브 아트센터
- 심리학적 관점에서 성인발달
- 성인발달(Adult development)
- 해방 학습
- 만화 덕질 덕심 리뷰
- PRO Model(모델)
- 영화 포미니츠
- 생태학적 체계 이론
- transformative learning
- 근접발달영역(ZPD)
- 에릭슨(erikson) 발달 단계
- 성인교육(Adult education)
- PRC Model(모델)
- Self- directed learning
- 브론펜브루너(bronfenbrenner)
- 뮤지컬 팬텀
- 생물학적 관점에서 성인발달
- 뮤지컬 포미니츠
- Garrison 모델
- 비고츠키(vygotsky) 사회문화적 이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