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출처 : Scrabble Board Game Fun - Free photo on Pixabay

 

 

'평생교육', '평생학습' 이라는 문구는 살아가면서 한번쯤은 스쳐지나가면서라도 들어봤을 것이다.

 

교육은 교육인데,,, 그 앞에 '평생'이 붙는다면?

 

직관적으로 생각했을 때 '평생동안 받는 교육, 평생에 걸친 교육'이라고 느낄 것이다.

 

예를 들어 한글학교에 다니며 70이 넘은 나이에 한글을 배워 시를 쓰게 된 할머니는 대표적인 평생교육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과연, 이 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 혹은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은 어떻게 출발하게 되었을까?

 

그리고 왜 전세계적으로 '평생'교육을 강조하고 있을까?

 

 

 

 

 

 

1.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 과 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의 정의

   

  •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 : 전생애(Lifelong)에 걸쳐 계속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삶의 필수조건이라는 철학, 운동, 프로세스, 태도.

 

  • 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 : 전생애(Lifelong)에 걸쳐 다양한 매개체에 의해 일어나는 교육을 조직하는 원리.

 

   * 학습과 교육의 차이는 쉽게 말해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학습이고,

     이러한 학습을 가능하도록 하는 체계적인 조직화 과정을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 흔히 '교육'이라고 하면 우리는 '교실'이라는 공간을 떠올린다.

    산업화에 따라 '학교 교육'이 보편화되면서 교육 = 학교교육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평생교육은 '교육은 학교교육 뿐만 아니라 학교 밖의 다양한 장소에서,

    유년시절 뿐만 아니라 성인 그리고 노인이 되어서도 전생애에 걸쳐 일어난다'고 본다.

 

  * 학습이 '평생에 걸쳐 일어나는 과정'이라는 철학은 고대 그리스, 중국, 인도 문명의 문헌에서도 발견된다. 

 

 

 

 

 

 

 

2. 성인교육의 발전과 평생교육의 정책적 도입

 

  • 서구의 19C 후반 ~ 20C 초의 산업혁명으로 사회 경제적 변화가 대대적으로 일어나면서 이러한 급격한 변화 속에서 성인 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 이에 따라 유럽과 북미에서는 WEA(Workers' Educational Association, 1905)나 AAAE(the American Association for Adult Education, 1926)와 같은 성인교육을 연구하는 단체들이 생겨났다.  

 

  • 이러한 기반 속에서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 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은 UNESCO, EU, OECD와 같은 국제기구에 의해 전세계적인 관심을 받으며 정책적으로 도입되었다. 

 

 

 

 

 

 

 

3. 평생교육에 대한 관점들 

 

  • 평생교육의 역사를 돌아보면 당대의 사회적, 경제적 배경 속에서 강조하는 바가 달라졌다.

 

  • 1972년, 유네스코(UNESCO)가 발표한 'Learning to be' 라는 보고서를 통해 평생교육의 개념은 대대적인 관심을 얻게 되는데, 이 때 평생교육의 개념은 인본주의적 관점에서 개인의 성취와 발전에 초점을 두고 있다.

 

  • 하지만 1990년대에 들어 세계화 현상과 지식 경제와 같은 급격한 사회, 경제적 변화를 겪게 되면 기존의 사회구조가 흔들리고 개인은 이러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심화되었다. 이러한 노동시장의 세계화 및 유연화에 따라 노동 시장에서 개인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평생교육이 역할을 다함으로써 경제적 성장과 사회적 통합을 이룰 수 있다는 '인간 자본론(human capital)'적 접근이 우세하게 되었다. 

 

 

 

 

 

 

 

4. 평생학습의 정책적 모델 3가지 

 

  • 지식 경제 사회에서 평생학습의 3가지 모델이 있다.

 

  • 앵글로 색슨 모델(Anglo Saxon Model) : 신자유주의 모델로 북미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다.

 

  • 유럽 대륙 모델(Continental European Model) : 유럽대륙의 사회 시장 모델이다.

 

  • 북유럽 모델(Nordic Model) : 경제적 경쟁력에 대한 강력한 지원을 바탕으로 사회통합을 추구하는 북유럽 모델이다.

 

  • 이 중에 북유럽 모델이 상대적으로 성공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북유럽모델은 평생교육을 제도적으로 적극 지원하고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민주적 참여를 촉진하면서 노동시장의 고용에 평생교육을 밀접하게 연관시키면서 사회적 공정함과 통합을 높이고 있다. 

 

 

 

 

 

 

 

 

 

 

 

5. 평생학습의 목표 : 학습사회(Learning Society)

 

  • 평생학습의 궁극적인 목표는 학습사회(Learning Society)의 구현이라고 할 수 있다.

 

  • 학습사회는 교육이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요소들과 밀접하게 엮여있고 모든 개인들에게 학습의 기회가 주어지며 자기 주도적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사회이다. 

 

 

출처 : pixabay

 

 

 

 

 

 

 

 

 

 

 

 

 

<참고문헌>

 

Field, J. (2010). Lifelong learning. In K. Rubenson(Ed.), Adult learning and education(pp.3-13). San Francisco: ELSEVIER.

 

Boucouvalas, M. (2021). Lifelong learning. In T. S. Rocco, M. C. Smith, R. C. Mizzi, L. R. Merriweather and J. D. Hawley (Eds.), The Handbook of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Sterling: stylus publishin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