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학습은 어디서 발생하느냐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학습'하면 흔히 학교에서 책상에 앉아 선생님에게 수업을 받는 모습을 상상하겠지만 학습은 생각보다 우리의 일상생활 깊숙이 스며들어 있다.
방금 떠올렸던 학교에서 배우는 과정은 '형식 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학교와 같이 제도적인 교육기관이 아닌 곳에서 학습은 어떻게 가능할까?
1. 형식학습, 형식교육 (Formal Learning / Formal Education)
- 형식교육은 제도화되어 있으며 커리큘럼이 있고 점수나 학점, 학위, 자격증과 같이 공식적으로 인증을 받는다.
- 예를 들어 초, 중, 고등학교 교육, 대학교, 대학원, 방송통신대학을 들 수 있다.
- 형식교육은 의도적이며 구조화되어있다.
2. 비형식교육 / 비형식 학습 (Nonformal Education / Nonformal Learning)
- 비형식교육/ 비형식학습은 형식교육인 학교 교육 기관 밖의 조직에서 발생한다.
- 비형식 교육의 예로 직장 워크샵, 박물관 도슨트, 문화 센터 등이 있다.
- 비형식 교육은 통상 단기간이며 커리큘럼과 교수자가 있다.
- 예를 들어 주식이나 부동산을 위해 관련 학원을 다니는 것도 무형식교육의 일종이라 볼 수 있다.
3. 무형식 학습(Informal learning)
- 무형식 학습은 형식 학습이나 무형식 학습을 제외한 모든 학습을 의미한다.
- 성인들은 흔히 본인이 학습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지만 연구 결과에 따르면 90%이상의 성인은 이러한 무형식 학습을 자연스럽게 하고 있다.
- 무형식 학습에는 3가지 형태가 있다.
- 자기주도 학습(Self-directed learning)
일상생활에서 의도적이고 의식적으로 학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테니스를 배우면서 동작을 익히기 위해 유튜브로 관련 영상을 보는 것,
철학에 관심을 갖게 되어 지하철에서 태블릿으로 관련 책을 읽는 것은 학습을 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이러한 자기주도 학습의 성격을 띤다.
- 우연적 학습(Incidental learning)
무형식 학습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어떤 활동을 했을 때, 학습하고자 의도한 것은 아니었지만
나중에 학습을 하게 되었음을 뒤늦게 인지하게 된다는 관점이다.
예를 들어 경제 관련 유튜브를 무심코 계속 보다가 주식, 채권 등의 경제 용어를 이해하게 되는 것도
이러한 우연적 학습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 사회화 또는 암묵 학습 (Socialization and Tacit learning)
비의도적이며 비의식적인 학습이다. 사회화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행동을 학습하는 과정이며
암묵 학습은 일상생활에서 가치, 태도, 행동, 기술 들을 체화하여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학습으로
예를 들어 직장을 10년간 다니며 여러 시행착오를 겪으며 본인만의 노하우가 생겼을 때
이런것도 암묵학습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중요한 것은 교육의 형태가 다양하며 학습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학교 기관에서만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 일상생활에 늘 함께한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이다.
이렇게 학습에 대한 관점을 넓힌다면 세상의 모든 것이 학습할 수있는 기회로 다가올 것이다.
<참고문헌>
Merram, S, B., & Baumgartner, L, A. (2020). Learning in adulthood : a comprehensive guide, 4th ed. San Francico : Jossey-Bass.
'Education > 성인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자기주도학습(SDL; Self- Directed Learning) (0) | 2021.04.28 |
---|---|
[5] 성인발달(Adult development) 관련 다양한 이론들 (0) | 2021.04.16 |
[4] 맥클러스키(McClusky) 의 마진 이론 (Theory of Margin) (0) | 2021.04.12 |
[3] 안드라고지(Andragogy) (0) | 2021.04.05 |
[1]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 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의 역사 (0) | 2021.03.31 |
- Total
- Today
- Yesterday
- 비고츠키(vygotsky) 사회문화적 이론
- Mezirow
- 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
- 만화 불의 검
- 심리학적 관점에서 성인발달
- 에릭슨(erikson) 발달 단계
- 생태학적 체계 이론
- 뮤지컬 포미니츠
- 레빈슨(levinson) 모델
- 영화 포미니츠
- 브론펜브루너(bronfenbrenner)
- PRO Model(모델)
- 성인발달(Adult development)
- 뮤지컬 시카고(chicago)
- 카이
- 뮤지컬 팬텀
- transformative learning
- 전환학습
- 만화 덕질 덕심 리뷰
- Garrison 모델
- 생물학적 관점에서 성인발달
- 해방 학습
- Self- directed learning
- 뮤지컬 팬텀(phantom)
- 근접발달영역(ZPD)
- 국립정동극장
- Spear 모델
- 대성 디큐브 아트센터
- PRC Model(모델)
- 성인교육(Adult educatio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