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발달(Development)란 개인과 환경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시간에 따른 행동의 체계적인 변화로 정의할 수 있다.
- 성인발달(Adult development)와 관련하여 다양한 관점이 있는데 크게 4개의 큰 틀에서 볼수 있다.
- 생물학적 관점 : 삶의 과정 동안 신체적 변화를 설명하는 관점
- 심리학적 관점 : 신념, 도덕성, 정체성, 지능적 발달을 설명하는 관점
- 사회문화적 관점 : 문화적, 역사적, 대인관계의 영향을 설명하는 관점
- 통합적 관점 : 다양한 관점들을 통합하여 발달을 설명하는 관점
1. 생물학적 관점에서의 발달 (Biological development)
- 우리의 신체는 성숙의 단계를 지나 노화를 겪게 되며 이에 따른 신체적 변화가 있다. 특히 시각, 청각이 점차 퇴화하여 학습 과정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오늘날 기술의 발달에 따른 다양한 보조수단을 이용함으로써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또한 노화에 따라 실행 기능과 관련되어 있는 전전두엽 피질, 기억과 관련있는 해마, 균형과 관련있는 소뇌의 수축이 있다. 그러나 인간의 뇌는 환경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뇌의 구조와 기능이 변화하는 "뇌 가소성(Brain Plasticity)"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려고 한다. 예를 들어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같은 활동을 두고 젊은 사람들은 한쪽 반구만을 사용하는 반면 노인은 양쪽 반구를 다 사용함으로써 이를 보상하려고 한다(Cavanaugh&Blanchard-Fields, 2017).
- 결론적으로 청각, 시각, 반응능력 등은 노화과정에서 퇴행한다. 그러나 기술의 발달은 이러한 기능의 퇴행을 어느정도 보조하여 학습을 지원할 수 있으며, 뇌의 유연성 또한 학습을 도울 수 있다.
2.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발달(Phsychological Development)
1)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모델 (Erikson's Psychosocial Devleopment Model, 1963)
-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모델은 인간의 발달을 설명하는 가장 영향력있는 이론 중의 하나다. 에릭슨의 이론은 발달의 8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단계는 한 개인의 삶에서 부딪히게 되는 일련의 위기와 이슈로 설명된다.
- 각각의 단계에서 부정적인것과 긍정적인 것 사이에서 선택이 있으며 인간이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전에 개인은 반드시 부정적인것보다 긍정적인 것을 더 많이 성취해야 한다.
- 또한 에릭슨은 이전 시기에서의 갈등을 해결하거나, 재해결하기 위하여 이전 단계를 다시 마주치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 에릭슨의 8단계 발달 모델
구 분 | 단 계 | 내 용 |
유년기 (stage of childhood) |
1단계 | -유아기(infancy period) : 신뢰 대 불신 (Trust vs. Mistrust) -미덕 : 희망(hope) / 부적응 : 위축(withdrawl) -수반되는 프로이트 단계 : 구강기(oral stage) -보호자로부터 애정과 음식을 충분히 지급받으며 안전한 환경이 공급되어야 한다. |
2단계 | -초기 아동기(early childhood period) : 자율성 대 수치심, 의심 (Autonomy vs. Shame, doubt) -미덕 : 의지(will) / 부적응 : 강박(compulsion) -수반되는 프로이트 단계 : 항문기(anal stage) -보호자 안전한 환경을 유지하면서 자립을 돕는다. |
|
3단계 | -유희기(play age period) : 주도권 대 죄책감 (Initiative vs. Guilt) -미덕 : 목적(purpose) / 부적응 : 억제(inhibition) -수반되는 프로이트 단계 : 남근기(genital stage) -보호자는 아동의 주도성과 관심을 격려하고 지원하며 지도한다. |
|
4단계 | -학령기(school age period) : 근면 vs. 열등 (Industry vs. Inferioity) -미덕 : 능력(competence) / 부적응 : 무력(inertia) -수반되는 프로이트 단계 : 잠복기(latency stage) -학교와 집에서 성취에 따르 칭찬과 함께 합리적 기대가 충족된다. |
|
청소년기 (stage of adolescence) |
5단계 | -청소년기(adolescence period) : 정체성 vs. 정체성 혼란 (Identity vs. Identity Confusion) -미덕 : 충실함(fidelity) / 부적응 : 거절(repudiation) -개인이 가치관 정립에서 이전에 경험한것, 사회적 기대, 열망을 재보고 자기 자신을 찾아나간다. |
성인기 (stages of adulthood) |
6단계 | -성인초기(young adulthood period) : 친밀감 vs. 고립 (Intimacy vs. Isolation) -미덕 : 사랑(love) / 부적응 : 배척(distantiation) -개인이 친말한 친구관계와 장기간 동반관계를 형성한다. |
7단계 | -성인기(adult period) : 생산성 vs. 침체성 (Generativity vs. Stagnation/Self-absorption) -미덕 : 배려(care) / 부적응 : 거절(rejection) -양육, 코칭, 가르침을 통해 다음세대와 관계를 맺는다 |
|
8단계 | -노인기(old age period) : 통합성 vs. 절망 (Integrity vs. Despair) -미덕 : 지혜(wisdom) / 부적응 : 무시(disdain) -개인적인 삶의 성취에 대한 사색과 인정 |
- 나중에 에릭슨의 부인인 Joan Erikson에 의해 9단계가 추가되었다. 9단계는 이전의 8단계의 사회 심리적 발달로부터의 양상을 포함하며 지속되는 노화를 겪는 것으로부터 발생하는 새로운 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2) 레빈슨의 연령 단계 모델 (Levinson's Age-graded Model, 1978)
- 레빈슨은 사람은 실제 연령과 연관되는 안정과 전환적 기간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연속에 따라 발달한다고 보았다.
- 삶을 변화시키는 요소는 가족, 직업, 친구관계, 종교, 결혼, 민족성, 지역사회 등이 될 수 있다.
- 한 사람의 삶의 구조(life structure)는 안정기 동안 구축되고 유지되는 경향이 있으며 전환기에는 의문을 갖게되고 변화하게 된다.
- 나이에 따른 적합한 과업과 행동이 있다는 레빈슨의 발달이론은 연령에 적합한 과업 및 행동과 성인의 학습 활동을 촉진시키는 것 관의 관계에 관한 연관성을 조사하는 연구들을 촉발시켰다. Havinghurst(1972)는 "teachable moment(가장 잘 배울 수 있는 때)라는 개념을 가장 먼저 제시하였다. 또한 Knowles(1980)은 발달과업을 학습에 대해 준비되는 상태를 만들어내며 성인초기, 노인, 그리고 중년의 삶의 과업을 목록화했다.
3. 사회문화적 관점에서의 발달 (Sociocultural Factors)
- 성인발달의 사회문화적 접근은 어떻게 사회가 개인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 인정한다.
-
우리가 수행하는 사회적 역할과 결혼, 임신과 같은 생활 사건(life events)의 시기는 우리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1)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이론 (Vygotsky's sociocultural theory)
- 비고츠키는 개인은 발달이 일어나는 사회적, 문화적 그리고 역사적 배경에서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 비고츠키는 인지적 발달 습득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인지적 발달 손실과 퇴행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 인지적 발달 동기의 원천은 학습자의 호기심과 언어, 수학과 같은 문화적 도구에 대해 더 정통한 동료에 의한 동기부여다. 문제 해결에 있어서 언어, 수학과 같은 문화적 도구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동료의 증명은 학습자가 더 진보하고 다듬어진 고차원의 심리학적 프로세스로 발달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인지적 발달은 역사적 문맥 내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 주요한 역사적 사건은 한 문화 내의 구성원들의 인지적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 학습은 개인의 입증된 인지적 수준에서 2년을 앞선 발달을 가져올 수 있으며, 학습자의 발달단계에 따라 제한을 받는다.
- 개인의 근접발달영역(ZPD: Zone of proximal development)에서 학습의 발판을 댈 수 있도록 돕는 더 뛰어난 동료, 지도 교사, 멘토와 함께 일함으로써 학습자는 더 빠르고 정확하게 발견 기반의 학습을 할 수 있다.
- 근접발달영역(ZPD: Zond of proximal development) : 독립적인 문제해결이 가능한 실제 발달 수준과 더 능력이 뛰어난 동료와 함께 협동함으로써 문제해결이 가능한 잠재적 발달 수준 간의 거리
4. 통합적 관점(Integrative Perspectives)
- 브론펜브레너 (Bronfenbrenner,2001)의 생태학적 체계 이론(Biological Systems Theory)
- 브론펜브레너는 사회문화적 모델을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과 체계의 5개 층으로 체계화하였다.
- Microsystem(미시체계) : 개인적 삶의 환경. 가족, 동료, 학교, 이웃 개인은 이러한 화경에서 수동적으로 경험하는 수용자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환경을 구성한다.
- Mesosystem(중간체계) : 미시체계 간의 연결관계. 예를들어 가족 관계의 경험이 학교에 영향을 미치거나, 학교에서의 경험이 유년시절에 영향을 미치고, 가족 경험이 동료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
- Exosystem(외부체계) : 개인이 적극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 차원의 사회적 환경.
- Macrosystem(거시체계) : 개인이 살고있는 전체적인 사회 문화적 틀. 국가적 문화적 경계와 법과 규정
- Chronosystem(시간체계) : 이러한 체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한다.
'Education > 성인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 (1) | 2021.05.12 |
---|---|
[6] 자기주도학습(SDL; Self- Directed Learning) (0) | 2021.04.28 |
[4] 맥클러스키(McClusky) 의 마진 이론 (Theory of Margin) (0) | 2021.04.12 |
[3] 안드라고지(Andragogy) (0) | 2021.04.05 |
[2] 학습의 3가지 형태(formal, nonformal, informal) (0) | 2021.03.31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카이
- 성인발달(Adult development)
- 브론펜브루너(bronfenbrenner)
- 뮤지컬 시카고(chicago)
- 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
- 전환학습
- 뮤지컬 팬텀
- transformative learning
- 생물학적 관점에서 성인발달
- 만화 불의 검
- 심리학적 관점에서 성인발달
- Garrison 모델
- 만화 덕질 덕심 리뷰
- 성인교육(Adult education)
- 에릭슨(erikson) 발달 단계
- 뮤지컬 팬텀(phantom)
- Self- directed learning
- 비고츠키(vygotsky) 사회문화적 이론
- PRO Model(모델)
- PRC Model(모델)
- 생태학적 체계 이론
- 대성 디큐브 아트센터
- 레빈슨(levinson) 모델
- Mezirow
- 뮤지컬 포미니츠
- 국립정동극장
- 영화 포미니츠
- Spear 모델
- 해방 학습
- 근접발달영역(ZPD)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