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성인학습자의 성인 교육 참여에 대해 설명하는 흥미로운 이론이 있다. 바로 맥클러스키의 마진이론(The theory of margin, 1963)이다. 

 

 

  • 맥클러스키(McClusky)는 1963년 발표한 마진 이론에서 성인기는 한 사람이 지속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와 가용한 에너지 간의 균형을 추구하는 성장, 변화, 통합의 시기라고 설명하고 있다.

 

  • 맥클러스키는 성인은 급변하는 사회에서 생존하고 발전하게 위하여 지속해서 학습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러한 학습의 필요성이 성인이 속한 삶 속의 단계와 만나게 되고, 그  삶의 단계에서 학습의 가능성과 학습의 장애물이 대립하게 된다고 보았다.

 

  • 이에 따라 맥클러스키는 학습에 필요한 에너지와 가용한 에너지간의 균형을  "에너지를 소진시키는 "삶의 부하(Load of life)"와 이 부하에 대응할 수 있게 하는 "삶의 힘(Power of life)의 비율" 이라는 하나의 공식을 정립했다.

 

  • 삶의 마진(Margin in life)이란 부하와 힘의 비율이다.  더 많은 힘을 갖고 있다는 것은 학습에 참여 할 수 있는 더 많은 마진이 있다는 것이다. 

 

  • 부하와 힘 모두 내적, 외적 요소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부하(Load)의 외적 요소는 가족, 직장, 지역사회에서의 책임감과 갖은 것이 될 수 있으며, 내적 요소는 개인적인 열망, 욕구, 미래에 대한 기대 등이 될 수 있다. 힘(Power)의 외적요소는 가족의 지원, 사회적 능력,  경제적 능력이 될 수 있으며 내적 요소는 탄력성, 대처능력, 성격과 같이 효과적인 수행능력에 기여할 수 있는 살아오면서 축적해온 능력과 경험들이 될 수 있다. 

 

  • 부하(Load)를 줄이고 힘(Power)을 늘리면 마진(Margin)은 증가한다. 만약 삶의 부하(Load)가 힘(Power)을 능가하거나 통제를 벗어나게 되면 학습은 매우 취약해지고 금방 무너질 수 있다. 만약 힘을 비축하고 예끼치못한 위기상황을 잘 대처할 수 있으며 위기를 감수할 수 있는 상황이 된다면 더욱 더 적극적이고 창조적이며 탐구적인 학습활동이 가능하다. 

 

 

McClusky's theory of margin.

 

 

 

  • 성인이 학습에 참여하려면 학습이 요구하는 과정들에 적응하게 만드는 힘의 마진을 가져야 한다. 성인 학습자는 그들의 삶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책임들을 효율적으로 다루는데 능숙해야 한다. 

 

  • 맥클러스키는 마진 이론이 성인의 발달적 변화를 설명하는데도 유용하다고 봤다. 성인이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겪는 변화는 삶의 부하와 힘의 조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은 생애 주기의 연속적인 단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역할과 책임들을 축척, 수정, 포기해나가는 과정이다. 

 

  • 성인기의 학습은 신체적, 정신적 발달과 역할과 책임의 변화시키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맥클러스키의 마진이론은 사회적 역할의 변화와 학습간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유용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