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Education/성인교육

[3] 안드라고지(Andragogy)

주디스 프루 2021. 4. 5. 20:58

 

 

<출처 : 픽사베이>

 

 

1968년, Malcom Knowles는 성인기 이전의 학교교육과는 구별되는 "안드라고지(Andragogy)"라는 성인학습의 새로운 이론을 제시했다. 사실 안드라고지라는 용어를 처음 쓴 사람은 Knowles가 아니지만 안드라고지(Andragogy)는 북미에서 성인학습자와 그의 삶의 상황에 초점을 맞춘 첫번째 모델로서 소개되었다. 

 

 

 

Knowles가 제시한 안드라고지의 6가지 가정 (Six assumptions)

 

1. 사람은 성숙해감에 따라 의존적인 성향의 자의식에서 자기 주도적인 개인으로 변화한다.

     - 자기 주도적, 자율적, 학습에 스스로 책임을 지는 특성

     - 실제 적용 사례 : 성인 친화적인 학습 분위기, 계획과 자기 진단과 자기 평가 경험을 제공하는 것

 

2. 성인은 점차 상당한 경험을 축척해나가며 이것은 학습의 원천이 된다.

     - 학습의 원천으로서의 축척된 경험

     - 실제 적용 사례 : 경험적인 기술과 실전 적용을 강조하기, 경험으로부터 학습하도록 격려하기 

 

 

3. 성인의 학습 준비상태는 그 사람의 사회적 역할의 발달 과제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

     - 삶과 연관된 발달 과제들

     - 실제 적용 사례 : 학습 시기를 적절히 제공하고  학습자들간의 집단을 적절히 분류해주기

 

 

4. 사람이 성숙해감에 따라 미래에 지식을 적용한다는 관점에서 즉각적으로 지식을 적용한다는 시간 관점이 변화한다.그러므로 성인은 학습에서 주제 중심이 아니라 문제 중심적이다. 

      - 문제 중심적

      - 실제 적용 사례 : 학습자의 실제적인 관심사 범위 내에서 문법과 스타일을 고려하여 교과 제목을 정하기 

 

5. 가장 강력한 동기는 외부적인 것이 아니라 내재적이다. 

      - 내재적 가치

      - 실제 적용 사례 : 교수자가 학습자가 참여하게 된 이유를 인지하고 그것을 격려하는 것

 

 

6. 성인은 왜 학습해야하는지에 대해 스스로 알아야 한다. 

      - 실제 적용 사례 : 교수자가 교과목의 목표와 활동에 대한 합당한 이유를 제공하는 것

 

 

 

 

 

 

 

 

이러한 안드라고지(Andragogy)에 대하여 이것이 성인학습을 포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이론인지에 대해서 많은 이의제기가 있었다. 몇 가지 관점에서 보자면

 

 

 

 

 

1. 안드라고지(Andragogy)가 성인학습의 이론이 될 수 있는가?

 

-  좋은 사례를 모아놓은 원칙일 뿐이다(Hartree,1984, Brookfield, 1986)

 

-  성인 교육의 이론인지 아닌지 명확히 분류되지 않았다(Davenport & Davenport, 1985)

 

-  특정한 삶의 경험은 학습의 장애물로 작동한다(Merriam & Matt & Lee, 1996) 

 

 이러한 반론이 있어왔으며 Knowles(1989) 자신도 안드라고지는 학습에 관한 가정 모델 또는 신생이론의 근간을 제공하는 개념적인 틀이라고 설명하였다.

 

 

 

 

 

 

2. 안드라고지(Andragogy)는 성인에게만 국한되는 내용인가?

 

- 이는 페다고지(Pedagogy)와 안드라고지(Andragogy)가 완벽히 분리될 수 있는지의 문제라 할 수 있다.

 

- Knowles의 저서를 나온 시간 순으로 살펴보면 페다고지와 안드라고지를 초기에는 대립적인 측면에서 보고 있으나(Andragogy VS Pedagogy, 1970), 이후 1986년에 낸 저서의 제목은 "From Andragogy to Pedagogy"로서 교수자 주도의 학습에서 학생주도의 학습으로 변화하는 일련의 연속체로 보는 변화가 있었다.

 

- 각각의 가정은 특정한 상황에서는 맞지만 다른 상황에서는 맞지 않다(Ross-Gordon, Kaswsorm, 2017)고 비판하는 주장도 있다.

 

 

 

 

 

3. 안드라고지는 사회적 맥락이 고려 되지 않았다는 비판들

 

 

- 사람은 사회적인 상황에 놓여있으며 사회역사적이고 문화적인 산물이라는 점에 대한 인지가 없다(Grace, 1996)

 

- 학습이 발생하는 맥락에 대한 사회학적 관심이 부족하다(Jarvis, 1987)

 

- 이밖에도 Lee(2003), Alfred(2000), Sandlin(2005)는 특정한 문화적 관점과 급진적 관점에서 안드라고지를 비판하였다.

 

- Kassles & Poell(2004)는 안드라고지가 사회자본론과 결합하게 되면 직장을 학습에 용이한 환경으로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안드라고지와 사회자본론가 결합하면 HRD(Human Resource Development) 분야에 여러가지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직장내에서 학습을 활성화시키는 가정으로 작용하며, 능력개발에서 자율성과 자기주도성이라는 강력한 동기부여 측면을 강조하고,  일상의 직장 환경에서 학습이라는 것이 사회적 맥락으로 통합될 수 있도록 돕는 의미있는 관계들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를 촉진한다는 것이다. 

 

 

 

 

이와같이 안드라고지(Andragogy)는 성인 학습을 포괄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며 성인학습의 특정한 측면을 이해하는 하나의 모델로서 보는 게 바람직하다. 

 

 

 

 

 

 

 

 

 

 

<참고문헌 >

 

Merriam, S, B., Baumgartner, L, A. (2020). Learning in adulthood : a comprehensive guide, 4th ed. San Francico : Jossey-Bas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