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
: 우리가 살아온 세계와 우리 자신을 바라봤던 관점에 대한 근본적이고 극적인 변화 (transformataion)
Mezirow의 전환학습 이론
-
Mezirow는 장기간 중단 후 고등교육이나 직장으로 돌아가는 미국 여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전환학습을 제시하였다(1978).
-
Mezirow는 학습을 미래의 행동을 이끌어 내기 위하여 기존의 해석을 사용함으로써 우리가 경험한 것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했다.
-
의미구조(meaning structures)는 준거 틀(frame of reference), 사고 방식(habits of mind), 관점(points of view)로 이루어져 있다.
1) Frame of references(준거 틀) : 우리의 생각, 느낌 그리고 습관들이 기초로하는 기대나 가정들의 구조.
준거 틀은 사고 방식( A habit of mind)와 관점( a point of view)라는 2가지 차원으로 구성된다.
예) 개인의 성격, 계보, 세계관, 학습방식, 학습 선호도 등
2) A habit of mind(사고 방식) : 우리의 배경, 경험, 문화, 성격을 기반으로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대한 것
* 6가지의 사고 방식
1) 지식적(epistemic) : 개인은 지식을 사용하고 습득하는 방식
2) 사회언어학적(sociolinguistic) : 문화적 기대들과 언어 사용
3) 심리학적(psychological) : 개인의 자의식과 특성
4) 윤리적(moral / ethical) : 개인이 좋은 것과 나쁘 것을 결정하는 방식
5) 철학적(philosophical) : 개인의 철학적 관점과 종교적 신념
6) 미학적(aethetic) : 미를 평가하는 방식
* 사고방식(a habit of mind)는 관점(a point of viw)로 표현된다.
예) 민족 중심주의 라는 사고 방식 -> 특정 인종에 대한 혐오의 관점으로 표출된다.
3) a point of view(관점)
* 관점은 특정한 믿음, 감정, 태도, 가치 판단의 집합체인 의미 도식(meaning schemes)들로 이루어져 있다.
* 의미체계는 구체적인 해석을 암묵적으로 이끌어내거나 형성하고 , 우리가 어떻게 대상을 어떻게 판단하고
특징지을지, 그리고 인과관계를 어떻게 설명할 지를 결정짓는 특정한 믿음, 감정, 태도, 가치 판단의 집합체다.
* 관점(points of view)는 사고방식(habits of mind)보다는 변화하기 쉽다.
왜냐하면 우리는 사고방식(habits of mind)보다는 관점(points of view)에 대한 더 인지하기 쉽고
피드백을 더 많이 받기 때문이다.
-
우리는 해석, 믿음, 사고방식, 관점들이 기초로하는 가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하여 준거 틀(frame of reference)을 전환한다. 준거 틀의 전환은 비판적 성찰과 사고방식(habits of mind)의 전환 또는 관점(points of view)의 전환 증대를 통하여 발생한다.
-
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은 우리의 믿음이나 태도와 같은 의미체계(a meaning scheme)에서의 전환이나 우리의 사고 방식(a habit of mind)와 같이 전체적인 관점의 전환이 일어날때 발생한다.
-
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이란 포괄적이고 안목있으며, 성찰적이고 열려있며 변화에 대해 감정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문제적인 준거틀(frames of reference)을 형성하는 학습이다.
-
전환학습을 통하여 우리는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졌던 목적, 가치, 신념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 우리의 사고방식(habits of mind)의 전환은 어느 날 문득 극적으로 다가올 수도 있고, 사고 방식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관점(points of view)들의 변화가 증대함으로써 천천히 진행될 수도 있다.
-
전환학습의 프로세스는 경험(experience), 비판적 성찰(critical reflection), 비판적 담론(reflective discourse), 행동(action)이라는 4가지 국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더 잘게 쪼개면 10가지 단계로 이루어진다.
1) 혼란스러운 딜레마 (A disorientind dilemma)
2) 죄책감이나 부끄러움의 감정을 통한 자기 반성 ( A self examination with feelings of guilt or shame)
3) 지식적, 사회문화적, 정신적 가정에 대한 비판적 평가
( A critical assessment of epistemic, sociocultural, or psychic assumptions)
4) 불만족을 인지하고 전환의 과정을 공유하며 다른 사람들도 유사한 변화를 해결해왔음을 인지하는것
( Recognition that one's discontent and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are shared
and that othere have negotiated a smilar change)
5) 새로운 역할, 관계, 행동을 위한 선택지에 대한 탐구
( Exploration of options for new roles, relationships, and actions)
6) 행동 방침 계획 (Planning a course of action)
7) 계획을 실행하기 위한 지식과 스킬을 습득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s for implementing one's plan)
8) 새로운 역할 수행 준비 (Provision trying of new roles)
9) 새로운 역할과 관계에서 역량과 자신감 구축
(Building of competence and self-confidence in new roles and relationships)
10) 새로운 관점에 지배받는 조건들을 기반으로 하여 삶을 재통합
(A reintegration into one's life on the basis of conditions dictated by one's perspective)
-
Mezirow는 성찰을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며 이것은 3가지 유형의 학습 프로세스와 연결된다(1995).
1) 내용 성찰(content reflection): 실제 경험에 대한 성찰
= 의미 도식 내에서의 학습 (learning within meaning scheme)
현존하는 지식 체계를 확장시키고 보완하며 개정함으로서 현존하는 의미 도식과 함께 수행하는 학습
2) 과정 성찰(process reflection):경험을 다루는 방식에 대한 성찰
= 새로운 의미 도식 학습 (learning new meaning scheme)
학습자의 의미 관점(meaning perspectives) 내에서 존재하는 의미 도식과 상호보완적인
새로운 의미 도식을 습득하는 학습
3) 전제 성찰(premise reflection): 기존에 오랫동안 받아들여져왔던 사회적으로 구조화된 가정들에 대한 성찰
= 의미 전환을 통한 학습(learning through meaning transformation)
문제에 직면한 상황에서 현존하는 의미 도식이나 새로운 의미 도식을 학습하는 것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경우
문제의 재 정의를 통해 해결할 때 일어나는 학습
'Education > 성인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자기주도학습(SDL; Self- Directed Learning) (0) | 2021.04.28 |
---|---|
[5] 성인발달(Adult development) 관련 다양한 이론들 (0) | 2021.04.16 |
[4] 맥클러스키(McClusky) 의 마진 이론 (Theory of Margin) (0) | 2021.04.12 |
[3] 안드라고지(Andragogy) (0) | 2021.04.05 |
[2] 학습의 3가지 형태(formal, nonformal, informal) (0) | 2021.03.31 |
- Total
- Today
- Yesterday
- Garrison 모델
- 해방 학습
- 뮤지컬 시카고(chicago)
- 성인발달(Adult development)
- 만화 불의 검
- 레빈슨(levinson) 모델
- 브론펜브루너(bronfenbrenner)
- 만화 덕질 덕심 리뷰
- PRC Model(모델)
- PRO Model(모델)
- 에릭슨(erikson) 발달 단계
- 국립정동극장
- Self- directed learning
- 근접발달영역(ZPD)
- 영화 포미니츠
- 뮤지컬 팬텀
- 비고츠키(vygotsky) 사회문화적 이론
- Spear 모델
- 카이
- 대성 디큐브 아트센터
- 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
- 성인교육(Adult education)
- Mezirow
- 생태학적 체계 이론
- 전환학습
- 심리학적 관점에서 성인발달
- 뮤지컬 포미니츠
- 생물학적 관점에서 성인발달
- 뮤지컬 팬텀(phantom)
- transformative learning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